본문내용 바로가기
경기 침체에 허리띠 졸라매는 재계…임금ㆍ성과급 떼쓰는 노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4-03-05 07:15:59   폰트크기 변경      
삼성ㆍ현대차 등 노조리스크 확산…적자난 곳은 “임금인상” 실적 좋은 곳은 “특별성과급” 요구

[대한경제=한형용ㆍ김희용 기자] 주주총회를 앞둔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노동조합 리스크로 몸살을 앓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체 및 실적사 측에서는 경기 침체에 대비하기 위해 사외이사 보수 한도를 삭감하는 등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지만, 노조는 임금이 만족스럽지 않다거나 성과급이 부족하다며 지갑을 열 것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성과가 부진했던 기업에서는 보수가 불만족스럽다며 임금 인상을, 실적이 좋았던 곳에서는 성과급을 요구하는 사례가 빗발치고 있다.

삼성전자의 대표 교섭 노조인 전국삼성전자노조는 최근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을 신청하는 등 노동쟁의 절차를 밟고 있다.

특히 삼성 계열사에서는 통상임금 소송 문제가 이어지고 있다.

삼성화재 노조가 통상임금 소송에서 일부 승소한 데 이어 삼성전자 2대 노조인 디바이스경험(DX)노조와 삼성전기 존중노조가 소송에 참여할 소송단을 모집 중이다.

현대차ㆍ기아도 추가 포상금인 특별성과급을 놓고 씨름하고 있다.

현대차ㆍ기아 노조는 지난해 임금 교섭에서 이미 사상 최대 임금 인상과 성과급으로 1인당 평균 3000만원 안팎을 챙겼다.

하지만 해가 바뀐 뒤 또다시 별도 성과급을 요구하고 나서면서 재계 안팎에서는 “노사 신뢰를 깨는 과도한 요구”라는 지적이 나온다.

현대제철에서는 지난해부터 끌고 온 2023년 임금단체협상을 현재까지 마무리하지 못한 채 갈등하고 있다.

사측은 기본급 10만2000원(호봉승급분 포함) 인상, 성과급 400%, 격려금 1300만원 지급 등을 제안했지만, 노조는 기본급 18만49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 전년(2022년) 영업이익의 25% 성과급 지급, 각종 수당 인상 등을 고수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 직원들은 “피와 땀에 부합하는 성과체계 공개하라”라는 문구가 적힌 3.5t 트럭을 마련해 서울 여의도 일대에서 트럭시위를 펼치는 등 거리로 나섰다.

이들은 오는 6∼8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 배터리 행사인 ‘인터배터리 2024’ 행사장 주변에서도 트럭 시위를 벌인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대기업 노조의 요구는 사측의 행보와 대비를 이룬다.

국내 대기업 상당수는 이달 열리는 주총에서 이사 보수 한도 삭감안을 다룰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오는 20일 열리는 주총에서 이사 보수 총액 한도를 지난해 480억원에서 올해 430억원으로 줄이는 안건을 상정할 예정이며, LG그룹도 지주사 (주)LG를 비롯해 LG전자, LG화학, LG생활건강 등 주력 계열사들은 이사 보수 한도를 삭감할 예정이다.

오는 27일 예정된 주총에서는 지난해 180억원에서 올해 170억원으로 이사 보수 한도를 줄이는 안건을 상정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노사갈등이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을 주목하고 있다.

국회 예산정책처의 ‘2023 대한민국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 산업의 노동생산성 지수는 110.2(2015년=100)로 2021년(107.8) 대비 2.22% 상승했다.

하지만 OECD 국가별 시간당 노동생산성을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는 2022년 기준 49.4달러로 37개국 중 33위에 그쳤다.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이라는 타이틀과 대비된다.

특히 기업들의 미래 성장 동력을 위한 투자 전략도 살펴봐야 한다는 게 재계의 설명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전년 대비 84.9% 하락한 영업이익(6조5670억원) 성적을 받았지만, 대만 TSMCㆍ미국 애플 등과 경쟁을 위해 지난해 총 시설투자에 53조1000억원을 투자했다.

올해도 AI(인공지능)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고대역폭메모리(HBM) 설비 투자에 나섰고, 최근에는 ASML 주식 629만7787주(5조원 규모)를 모두 매각하며 대형 인수합병(M&A) 등을 대비한 현금확보에 나섰다.

현대차그룹은 브라질 시장 공략을 위해 약 1조5000억원을 투입할 것으로 알려졌고, 인도와 인도네시아 시장에서도 현지 생산 거점을 만들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이다.

중국 시장 부진 및 러시아 전쟁 리스크 등을 대비한 조치다.

재계 관계자는 “춘투ㆍ하투ㆍ추투ㆍ동투 등으로 불리는 노사갈등의 단어는 결국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의 불안요소를 키우고 있다”고 말했다.


한형용ㆍ김희용 기자 hyo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프로필 이미지
산업부
김희용 기자
hyong@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