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최지희 기자] 경주와 울산을 잇는 민둥산의 대명사 동대봉산의 산사태를 기점으로 녹림화 사업이 시작된 지 52년이 된 올해 산림청은 새로운 목재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이제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늙은 나무를 베어, 목조건축에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목조건축 대형화’를 선언한 산림청은 <대한경제>에 국내 최고(最高) 목조건축인 7층(27.6m) 규모 ‘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의 준공 준비 현장을 최초 공개했다.
한때 산림 불모지였던 우리나라는 현재 ‘산림자원 강국’중 하나로 꼽힌다. 1972년부터 나무 약 120억 그루를 심었고, 이 중 78억 그루가 목조건축의 자재로 쓸 만한 자원이다. 국내 산림자원량은 1ha당 165㎥. OECD 평균(131㎥)의 1.26배에 해당한다. 목재를 활용한 건설사업 활성화를 위한 1차적 조건은 완성된 셈이다.
하지만, 국내 목재자급률은 여전히 15%에 그친다. 연간 국내 목재 수요 2800만㎥ 중 국산 목재 공급량은 430만㎥ 정도로, 목재 수입에만 매년 약 7조원 상당의 외화가 지출되고 있다. 자급률 면에서 미국(71%) 독일(53%)은 물론, 이웃 일본(42%)에 비해서도 훨씬 낮은 규모다.
이에 산림청은 목조건축을 통해 국내 목재 자급률을 5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으로 초고층 목조건축 시장 활성화에 도전했다. 2020년 건축법 개정을 통해 층고 제한(5층ㆍ18m 이하)이 사라진 만큼 기술 개발로 목구조의 한계를 뛰어넘겠다는 발상이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를 시작으로 13층 높이 목조건축 사업에도 도전하려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국산 건설기술 개발을 독려하고, 설계ㆍ시공사에 대한 직접적 인센티브 제공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는 국내 목조건축 대형화 시장을 이끌 선구적 프로젝트로 꼽힌다. 여전히 국내 규제의 한계에 갇힌 속에 진행된 사업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외산 자재비율을 29%까지 낮추고 순수 국내기술을 적용해 고층 건물의 하중을 목구조체가 견디도록 설계했다는 점에 의미가 크다.
3년간의 시공과정의 지켜본 김영관 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상무는 “목구조와 건축공사가 분리발주되고 내화성능 기준을 맞추기 위해 목구조 특유의 아름다움이 가려진 지는 등의 한계는 노출했지만 이번 프로젝트가 국내 목조건축 시장의 획기적 성장 발판을 마련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세계 최고(最高)목조건축인 미국의 ‘어센트타워(높이 86.6m)’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산림복지종합교육센터’가 남긴 의미와 과제를 분석해 차기 프로젝트가 진행된다면 우리나라 목조건축 시장도 일본만큼 성장할 것으로 믿는다”라고 설명했다.
최지희 기자 jh6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