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용산구 ‘용산 국제업무지구’ 사업지 내 용산역 정비창 부지. /사진:이종무 기자 |
[대한경제=이종무 기자] 28일 발표된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을 보면 지구 일대 주택 공급량은 1만3000가구(지구 내 6000가구ㆍ주변 정비 사업지 7000가구)이다.
지구 내에는 최고 100층이 가능한 고밀 복합 개발로 6000가구를 공급한다. 국제 업무기능에 적합한 정주 환경을 조성하고 스마트 친환경 건설기술을 집약할 계획이다. 지구 바깥으로는 민간 주도 정비 사업을 촉진해 사업지 반경 1㎞ 내 7103가구를 추가로 건설한다. 조합원분을 뺀 물량 특성상 실제 주택 공급 효과는 이를 능가할 것이란 평가다.
세부적으로는 용산전자상가 1123가구, 정비창 전면1 특계 1052가구, 원효로3가 청년안심주택 988가구, 용문동 도심 공공주택 복합 사업 929가구, 아세아아파트 특계 849가구 등이다.
![]() |
서울 용산구 ‘용산 국제업무지구’ 사업지 용도지역 계획. /사진:서울시 제공 |
다만 이번 발표로 서울 부동산 시장이 다시 들썩일 가능성도 우려된다.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2018년 ‘용산 개발’ 발언을 했던 당시에도 부동산 시장이 요동치면서 7주 만에 사업 계획을 철회한 경험이 있다.
일각에선 사업지 내 오피스 과잉 공급 우려도 제기된다. 침체된 서울 오피스 시장이 추락할 수 있어서다. 이와 관련, 임창수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지구에 토지를 일시 공급하기보다 공급 방식ㆍ시기 등을 모니터링해가면서 오피스 시장의 수요 충격을 최대한 완충하며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행의 이날 기준금리 추가 인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높은 금리 상황을 고려하면 사업자들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이 제대로 조달될지도 미지수다. 개발업계 한 관계자는 “PF 시장이 너무 안 좋아 시와 정부에 정비창 부지 개발 과정에서 토지대금 납부기간 연장 등 다양한 방안을 건의했는데, 경기 상황을 고려하면 그래도 쉽지 않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강정철 한국철도공사(코레일) 스마트역세권사업단장은 “토지 공급 방식은 다양하게 검토 중인 단계로, 인센티브는 외국인 투자만 감안한 것이 아니다”라며 “당장 토지대 부담이 있음을 고려해 리츠와 토지임대 등도 들여다보고 있으며, 세부 공급 방식은 내년 상반기까지 고민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종무 기자 jm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