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건설산업에 부는 AI 바람-하]③데이터 확보·관리 최우선…저작권 침해 등 해결해야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3-12 06:00:49   폰트크기 변경      
과제는 어떤 게 있나

현장별 데이터 통합ㆍ표준화…윤리 기준 필요


[대한경제=김민수 기자]기획ㆍ설계ㆍ시공ㆍ유지관리 등 건설산업은 생애주기 전단계에서 AI(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고 있지만, 아직 디지털 전환을 달성한 것으로는 평가받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1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건설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가장 큰 걸림돌로는 데이터 확보가 꼽힌다. AI 기술을 활용하려면 핵심인 데이터 구축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건설은 프로젝트별로 현장이 다른 탓에 데이터를 통합ㆍ관리하는 게 쉽지 않다.

또한, 건설은 다양한 환경 변수와 예측 불가능한 상황 연출이 빈번해 데이터 수집도 어렵고, 수집하더라도 데이터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지난해 10월 한국공학한림원이 개최한 미래국토포럼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제기됐다. 포럼에 참여한 건설사 관계자는 “AI 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강조하지만, 데이터가 구축되지 않는데 어떻게 AI를 활용할 수 있겠나”며, “건설업은 데이터 확보가 힘들고, 시공하고 난 뒤 준공이 되면 데이터를 음성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데이터를 어떻게 모을 것인가에 대한 표준화 등이 전혀 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허준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도 “건설은 어느 분야보다 3D 데이터를 가장 많이 갖고 있지만, 스스로 자기가 얼마나 잘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일천하다는 부분이 안타깝다”면서, “개별 조직이 가진 데이터를 한 데 모으는 등의 거버넌스 개편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저작권 침해 및 허위 조작 정보 문제도 넘어야 할 과제다. AI 기술은 하루가 멀다하고 빠르게 진화를 거듭하지만, 여기서 파생되는 윤리적인 문제는 기술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AI 설계의 경우 주로 초기 아이디어 도출 단계에서 AI를 활용하고 있는데, 저작권 등의 문제는 별다른 논의 없이 노출돼 있는 상태다.

이와 관련, 건설 소프트웨어(SW) 기업 관계자는 “현재는 AI 기술이 규제를 앞서는 상황으로, 전 세계가 합의하는 기본 윤리조차 마련돼 있지 않은 실정”이라며, “규제와 윤리가 우선적으로 확보된 상태에서 기술이 따라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김민수 기자 kms@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프로필 이미지
건설기술부
김민수 기자
kms@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