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망 확충 평균 4~6년 지연
SOC 연계 적시적소 공급 강조
![]() |
이성학 한국전력공사 송변전건설단 건설혁신실장이 10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5 제4회 에너지전략포럼’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안윤수 기자 ays77@ |
[대한경제=서용원 기자]“선호시설인 고속도로와 비선호시설인 송전선로를 패키지화하는 방식으로 전력망을 적시에 건설할 수 있습니다.”
이성학 한국전력 송변전건설단 건설혁신실장은 10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열린 ‘2025 제4회 에너지전략포럼’에서 고속도로 등 SOC(사회간접자본) 사업과 연계한 전력망 건설혁신 방안을 제시했다.
한전의 ‘제11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획’에 따르면 2023년 기준 3만5596C-km(서킷 킬로미터)의 송전선로는 2038년 6만1183C-km까지 약 1.7배의 확충이 필요하다. 전력수요 급증에 따라 전력망 확보가 시급한 상황이지만, 지역주민 반발과 막대한 건설비용 등으로 송전선로 구축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345㎸ 북당진∼신탕정’ 사업으로, 당초 계획보다 150개월이나 지연됐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호시설인 고속도로ㆍ간선도로 등 SOC 사업과 비선호시설인 전력망 건설을 패키지로 연계하는 방안을 새롭게 제시한 것이다. 주민수용성을 높이고, 지역발전의 형평성까지 확보하는 방안이다. SOC사업과 연계하는 만큼 비용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성학 실장은 “안정적 전력공급을 위한 송전망 확충이 평균 4∼6년 지연되고 있다. 국가경제적 편익을 높일 수 있는 SOC 공동개발 방식이 이를 해소할 대안이 될 것”이라며 “교외지역에는 도로 신설ㆍ확장 등으로 물류 환경을 개선함과 동시에 도로 양옆에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도심 내에서는 지하에 송전선로를 건설하고, 지상에는 도로를 신설 및 확충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사실 한전은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의 ‘군북∼가야 국도 건설’사업 △서울지방국토관리청의 ‘국도 45호선 확장’사업 등을 통해 전력망과 국도 건설을 연계해 본 경험이 있다. 향후 도심 내 도로에 지하 송전선로를 건설할 경우 ㎞당 최대 200억원의 국가 경제적 편익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실장은 “적시적소 전력공급을 위한 전력망 확보가 필요하지만, 낮은 주민수용성과 지역 민원을 우선시하는 지방자치단체의 비협조, 막대한 비용 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는 상황”이라며 “에너지 대전환 시대에 전력의 적기적소 공급 여부는 국가 미래 경쟁력을 좌우한다. SOC 사업과 연계한 전력망 확충은 이에 대한 해결책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서용원 기자 anton@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