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위기의 자동차보험] 치료기간 8주 넘는 환자 87.2%가 韓方 찾아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7-31 06:20:33   폰트크기 변경      

[대한경제=이종호 기자] #. 서울에 사는 A씨는 좁은 골목길을 빠져나가다 행인을 사이드미러로 쳤다. A씨는 행인에게 사과하고 자동차보험 대인 접수를 하고 몇 주 뒤 보험사로부터 당황스러운 연락을 받았다. 피해자가 한방병원에서 지속적으로 치료를 받아 합의하지 못했다는 내용이었다. 나중에 합의됐다는 보험사의 연락을 받고 피해자가 얼마냐 치료를 받았느냐고 물어보자 9주간 치료를 받았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이처럼 한방치료를 이용한 자동차 사고 경상환자의 평균 치료 일수, 치료비가 모두 양방보다 훨씬 많아서 한방병원이 자동차보험 손해율의 주범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4개 손보사(삼성, 현대, DB, KB)의 자동차보험 경상환자(상해급수 12∼14급) 117만1507명 중 90.1%(105만5904명)가 8주 이내 치료를 끝냈다.

10% 남짓인 8주를 초과한 치료 환자(11만5603명)의 대부분은 87.2%(10만902명)는 한방 환자였다. 양방 환자의 86.9%가 4주 이내 치료를 끝내고, 95.8%가 8주 이내 치료를 끝냈지만, 한방환자는 70.7%만이 4주 이내 치료를 종결하고, 87.8%가 8주 이내 치료를 종결했다.

경상환자의 평균 치료 일수도 한방치료가 10.6일로 양방치료 5.4일에 비해 높았다. 한방 경상환자 1일당 평균 치료비 역시 10만7000원으로 양방(7만원)보다 53.3% 높은 수준이다. 한방진료비 중 세트청구(다종시술) 비중도 급격히 상승 중이다.

손해보험 4개사의 한방진료비(통원)는 2020년 5271억원에서 2024년 7851억원으로 증가했다.

이 기간 6가지 이상 한방 시술을 당일 함께 시행한 ‘세트청구’ 진료의 비중은 47.5%에서 68.2%로 20.7%포인트(p)나 상승했다. 작년 기준 경상환자의 세트청구 진료비 비중은 69.7%로, 9∼11급 환자의 세트청구 진료비 비중(58.0%)보다 오히려 높아 과잉진료가 의심되는 상황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한방병원 진료비는 2019년 4308억원에서 2024년 9874억원으로 5년 동안 2배 이상으로 증가했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한방병원에서는 환자의 증상·상해 정도와 무관하게 유사한 치료목적·효과의 치료를 한꺼번에 시행하는 경우가 많아 경상환자 한방 진료비가 급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건강보험 기준을 따르는 양방에 비해 자동차보험 진료비 기준이 미흡해 과잉진료 유인이 큰 탓이다.

손해보험사 관계자는 “환자의 개별 상태와 무관하게 세트청구를 하는 경우가 늘면서 경상환자 한방 진료비가 급증하고 있다”며 “한방은 아직 자동차보험 진료비 기준이 미흡해 과잉진료로 인한 보험금 누수가 크다”고 말했다.
 

이종호 기자 2press@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프로필 이미지
금융부
이종호 기자
2press@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