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 대응 전략
김수현 국토교통부 서기관
이벤트ㆍ시설 조성으로는 역부족
관광객 등 월 1회 이상 체류 목표
![]() |
김수현 국토교통부 건축문화경관과 서기관이 1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대한경제>가 주최한 ‘2025 도시와 공간 포럼(CSF)’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안윤수 기자 ays77@ |
[대한경제=이종무 기자]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한 도시 경관ㆍ고유의 매력은 도시건축 정책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영역이다.”
김수현 국토교통부 건축문화경관과 서기관은 1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대한경제>가 주최한 ‘2025 도시와 공간 포럼(CSF)’에서 “현재 지방 소멸 대응 전략은 사는 사람을 단순히 늘리는 것에서 머무는 사람을 늘리는 것으로 전환하고 있다”며 이처럼 말했다. 그는 이날 ‘지방 소멸에 대응하는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을 주제로 발표하며 중앙정부의 중간 관리자로서 현재 고민하는 내용과 방향성을 이같이 언급했다.
그는 “정부나 지자체가 그간 인구 소멸에 대응해왔던 방식은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된 일자리나 자원을 지방으로 분산시키는 것이었다”면서 “이제는 주민등록상 거주 인구 외 관광객 등이 월 1회 이상, 하루 3회 이상 체류하는 생활인구 유치에 치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단기적인 이벤트나 시설 조성보다 지역 고유 정체성이 함께 살아 숨쉬는 도시를 만들어 생활인구가 스며들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
김수현 국토교통부 건축문화경관과 서기관이 1일 서울 강남구 건설회관에서 <대한경제>가 주최한 ‘2025 도시와 공간 포럼(CSF)’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안윤수 기자 ays77@ |
그러면서 김 서기관은 “지방 도시의 브랜드 구축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도시 브랜드가 지역의 특색이나 분위기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적인 내용 개발도 중요하지만 도시건축ㆍ공간 디자인 측면에서 구현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면서 “도시건축 자산 혹은 지역 고유의 자연 경관을 최대한 활용하는 지역 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종무 기자 jm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