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지반침하사고 ‘867건’
올해만 벌써 28건…수도권 집중
지자체, 현황점검ㆍ대책마련 분주
서울시, GPR 활용 공동탐사ㆍ복구
굴착공사 등이 지반침하 매개체
선제적 예방ㆍ체계적 방안 나와야
![]() |
![]() |
21일 지하안전정보시스템(JIS)에 따르면 2020∼2024년까지 5년간 전국에서 발생한 지반침하사고는 총 867건이다. △2020년 284건 △2021년 142건 △2022년 177건 △2023년 162건 △2024년 102건으로 사고 자체는 줄었지만, 침하 깊이와 범위는 커지고 사망사고로 이어지는 등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다.
사고는 주로 서울과 경기, 광주, 부산 등의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다.
최근 5년간 지반침하 사고를 보면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173건으로 가장 많았다. 그 외 광주시(108건), 부산시(89건), 서울시(85건), 전라북도(66건), 강원도(65건), 경상북도(52건), 대전시(50건), 충청북도(47건), 인천시(28건), 전라남도(27건), 경상남도(26건), 충청남도(16건), 대구시(12건), 울산시(10건), 제주도(7건), 세종시(6건) 순으로 집계됐다.
올해만 해도 이날 현재까지 전국 각지에서 28건의 지반침하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됐다.
1월 6건, 2월 4건, 3월 6건이었던 사고는 특히 4월 들어 12건으로 증가했다. 전체 28건 중 서울에서만 8건(28.6%)이 발생했다. 이어 경기(6건), 전북(4건), 부산(3건), 강원(2건) 등의 순으로 확인됐다.
지난 11일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5-2공구 지하터널 내부 가운데 기둥 파손으로 인한 붕괴사고가 대표적이다. 공사현장 면적 4000㎡ 중 직접 지반이 무너진 지역은 절반가량인 2000여㎡였고, 깊이는 40여m에 달했다.
대규모 붕괴로 인해 현장에 있던 작업자 19명 가운데 17명은 무사히 대피했지만, 고립됐던 20대 굴착기 기사가 13시간 만에 구조됐다. 이후 엿새 만인 지난 16일 오후 사고 발생 125시간여 만에 시공사인 포스코이앤씨 소속 50대 근로자가 지하 21m 아래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지난달 24일에는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서 직경 20mㆍ깊이 20m 규모의 지반침하가 도심 사거리 한복판에서 발생해 지나가던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사망했다.
지반침하 사고가 전국에서 잇따르면서 자자체에서는 관련 현황 점검 및 대책 마련을 위해 분주한 모습이다.
서울시는 지표투과레이더(GPR) 장비를 활용한 지하 공동(空洞) 탐사 및 복구 작업에 나섰다. 부산시는 GPR 탐사 차량을 확충하고, 지하 굴착 공사 때 자동 계측을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부실한 차수 공법이 시행된 사상∼하단선 구간 1100곳에는 물 침투를 막고 지반을 보강하는 그라우팅 공법을 실시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국내 지하동공 박사 1호인 최연우 지하동공탐사협회 회장은 “도시의 지반침하는 대부분 도로에서 발생하는 특성이 있다”며, “도로 주변의 하수관로 등 지하매설물과 굴착공사가 지반침하를 발생시키는 매개체로, 이를 선제적으로 예방하고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대책수립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민수 기자kms@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